카테고리 없음

정부 직접일자리사업

growthmoney 2025. 4. 22. 15:09
반응형

2025년 중앙부처별 직접일자리사업 

 

 

 

 

 

직접일자리사업이란?

 

직접일자리사업은 정부가 재정지출을 통해 취업취약계층(저소득층, 장기실업자, 노인, 청년 등)의 고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2025년 중앙부처-자치단체 합동지침은 취약계층의 참여 비율을 높이고, 반복 참여를 최소화하며, 민간일자리로의 이동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각 중앙부처별 직접일자리사업을 상세히 정리하여  제공합니다. 정보는 고용노동부에서 확인된 자료를 기반으로 합니다.

 

직접일자리사업의 의의

 

직접일자리사업은 취업취약계층이 실업 상태에서 벗어나 민간일자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시적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참여 대상: 저소득층, 장애인, 6개월 이상 장기실직자, 여성가장 등.
  • 참여 기간: 통상 1년 미만, 최대 2년.
  • 업무 내용: 법령·조례에 규정되지 않은 재량사업의 한시적 업무(예: 환경 관리, 문화유산 보호).
  • 유형: 노동시장이행형(실무 경험 제공)과 사회봉사·복지형(소득 보조 및 자원봉사).

 

 

부처별 직접일자리사업 상세

1. 국유청

국유청은 문화유산 보호와 관련된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사업명                                                                            세부 내용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매장유산 보호 및 관리지원 미정리 유물 보존 및 활용 25.0%
국가유산보존관리정책강화 국가유산 산업 인턴지원 26.4%
  • 설명: 이 사업들은 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며, 특히 청년층의 인턴십 기회를 확대합니다.

 

2. 국토부

국토부는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청년층 일자리를 창출합니다.

 

사업명                                                                            세부 내용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도시재생사업 지원 도시재생 청년인턴십 24.9%
  • 설명: 청년들이 도시재생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3. 문체부

 

문체부는 문화와 예술 분야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위한 일자리를 운영합니다.

 

사업명                                                                     세부 내용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전통스토리 계승 및 활용 이야기할머니(실버이야기예술인) 인력양성 및 활동지원 49.6%
국학진흥 정책기반조성 국학진흥 청년일자리 20.1%
국학진흥 정책기반조성 국학진흥 실버일자리 45.2%
예술인력육성 현장예술인력육성(문화예술기관 연수단원 지원) 53.8%
  • 설명: 노인과 청년을 대상으로 전통문화 계승 및 예술 활동을 지원하며, 특히 노인층의 사회참여를 촉진합니다.

 

4. 복지부

 

복지부는 노인과 자활 대상자를 위한 일자리에 중점을 둡니다.

 

사업명                                                                   세부 내용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노인 돌봄 서비스 제공 27.2%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 공공형 100%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 민간형/사회서비스형 54.9%
자활사업 자활근로사업 100%
  • 설명: 노인 돌봄과 자활을 통해 취약계층의 소득을 보조하고 사회적 통합을 지원합니다.

 

5. 산림청

 

산림청은 산림 관리와 재해 예방을 중심으로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사업명                                                               세부 내용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산림서비스 도우미 산림복지일자리 70.0%
산림서비스 도우미 산림휴양서비스매니저 41.0%
산림서비스 도우미 도시숲 정원관리인 63.7%
산림재해일자리 산불전문예방진화대 73.8%
산림재해일자리 산사태현장예방단 74.2%
산림재해일자리 산림병해충예찰방제단 72.0%
산림재해일자리 산림보호지원단 94.1%
산불방지대책 산불재난특수진화대 17.3%
숲가꾸기 공공산림가꾸기 77.4%
임도시설 임도관리단 85.0%
  • 설명: 산림 보호와 재해 예방을 통해 지역 주민과 취약계층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6. 여가부

 

여가부는 여성의 경제활동을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사업명                                                             세부 내용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여성경제활동 촉진지원 새일센터 지정·운영(새일인턴운영) 29.6%
  • 설명: 경력단절 여성 등을 대상으로 인턴십을 통해 재취업을 지원합니다.

 

7. 특허청

 

특허청은 지식재산권 보호를 위한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사업명                                                        세부 내용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국내 지식재산권 보호활동 강화 부정경쟁행위 단속 지원-모니터링단 운영 100%
  • 설명: 공정한 시장 환경 조성을 위해 모니터링 업무를 수행합니다.

 

8. 해경청

 

해경청은 연안 안전을 위한 시민 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사업명                                                    세부 내용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연안안전사고예방활동 민간연안안전지킴이 47.6%
  • 설명: 지역 주민이 연안 안전 활동에 참여하여 안전한 해양 환경을 만듭니다.

 

9. 환경부

 

환경부는 환경 보호와 관련된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사업명                                                 세부 내용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미세먼지 불법배출 예방감시 지원 미세먼지 불법배출 예방·감시 52.9%
하천하구 쓰레기 정화사업 자치단체 지원 60.1%
환경지킴이 자연환경해설사(환경청) 59.1%
환경지킴이 국립공원지킴이(녹색순찰대) 99.5%
  • 설명: 미세먼지 감시, 하천 정화, 국립공원 관리 등을 통해 환경 보호에 기여합니다.

 

참여 방법 및 자격 요건

  • 신청 방법: 고용 24 또는 각 부처 홈페이지를 통해 모집 공고를 확인하고 신청.
  • 자격 요건: 취업취약계층(저소득층, 장애인, 장기실직자 등) 우선 선발.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예: 1인 가구 1,435,208원) 또는 70% 초과 시 제한(예: 1인 가구 1,674,409원). 재산 4억 원 초과 시 참여 제한.
  • 국민취업지원제도 연계: 일부 사업 참여 후 국민취업지원제도 미참여 시 2년간 재참여 제한.

 

결론

 

2025년 직접일자리사업은 각 부처가 취약계층의 고용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사회적 포용과 경제적 자립을 촉진합니다. 특히 취약계층 참여 목표비율 설정은 공정한 기회 제공을 보장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고용노동부 또는 고용 24를 방문하여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자료출처=정책브리핑 http://www.korea.kr>

반응형